가변압 제어 기술 소개
가변압 제어 기술 설명
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토출압 제어 기준이 유량에 따라 달라지는 가변압(배관
마찰손실양정)을 따르도록 제어하는 것.
신기술성
-
국내/세계 최초 배관의 마찰손실양정을
감안한 가변압 제어 구현
- 현재 운전 상태에서의 유량을 자동으로 연산(±3% 이내)
- 신제품인증(NEP : NEP-MOTIE-2020-095)
편의성
-
건물정보(동수, 층수, 세대수 등)를 바탕으로 배관의
마찰손실양정을 자동으로 계산
- 최고 압력에 따르는 시작 압력 자동 설정
-
배관의 마찰손실양정을 유량에 대한 압력 방정식으로 변환 하여 가변압
기준선으로 자동 설정
- 현재 유량, 누적 유량, 현재 전력 및 누적 전력량 정보 제공
- 각 펌프별 운전 정보(회전수, 가동시간 등) 제공
-
최적의 펌프 교대 방법 구현을 통해, 펌프 전환시 압력의 헌팅과 저하
방지
효과
-
[전력저감] 유량별 전력이 유량대에 따라 기존 제품 대비 약 20% 저감
-
[전력량저감] 사용처에 따라 24시간 소비전력량이 기존 제품 대비 약
20% 저감
제어 방식의 변화
세대 |
1세대 |
2세대 |
3세대 |
4세대(현재) |
제어 방식 |
ON/OFF |
일정압제어 |
일정압제어 |
가변압제어 |
급수 방식 |
고가수조방식 |
급수펌프직송방식 |
급수펌프직송방식 |
급수펌프직송방식 |
구성 |
|
|
|
|
세대 |
3세대 |
4세대(현재) |
제어 방식 |
일정압제어 |
가변압제어 |
급수 방식 |
급수펌프직송방식 |
급수펌프직송방식 |
구성 |
|
|
유량,압력 결정방법
유량 |
양정 |
1. 기하급수 부하단위(FU)에 의한 계산법
2. 기구수와 동시 사용율에 의한 계산법
3. 공동주택의 급수량 계산법
|
1. 물을 이송 시키는데 있어 수조부터 가장 먼 수전까지의 수직 높이
2. 실제 수직 높이와 관의 재질, 길이와 직경에 따른 손실을 수직
높이로
환산하여 합한 양정을 전양정이라 하며, 펌프의 토출부에서 발생되는
압력으로 결정
|
양정 |
1. 물을 이송 시키는데 있어 수조부터 가장 먼 수전까지의 수직 높이
2. 실제 수직 높이와 관의 재질, 길이와 직경에 따른 손실을 수직
높이로
환산하여 합한 양정을 전양정이라 하며, 펌프의 토출부에서 발생되는
압력으로 결정
|
설계압력 |
설계 압력으로 유량 변화에 관계없이
일정하게 압력을 제어
|
시스템 곡선 |
유량에 의한 배관 마찰 손실이 고려된
곡선으로 이 곡선을 따라서 제어
|
세대 |
제어방식 |
제어기준 |
제어요소 |
3세대 |
일정압제어 |
설계압력 |
압력정보 |
4세대(현재) |
가변압제어 |
시스템곡선 |
유량정보
압력정보
|
제어기준 |
제어요소 |
설계압력 |
압력정보 |
시스템곡선 |
유량정보
압력정보
|
배관 마찰 손실
배관 마찰 손실 |
유량이 배관을 지나갈 때 유체와 배관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
압력이 손실되는 현상으로 지나가는 유체가 많을수록 손실되는
압력이 커진다.
|
배관 마찰 손실 계산 필수요소 |
1. 배관의 구경
2. 배관의 단면적
3. 통과하는 유체의 양
4. 유체 속도
5. 레이놀즈 수
6. 마찰손실계수
|
배관 마찰 손실
제어
기준
|
시스템 곡선 |
자동 설정 기술 |
제어
요소
|
압력 정보
유량정보
|
압력 센서 유량 연산 기술 |
혜택 |
1. 유량 정보 제공
2. 펌프 및 배관 내구 수명 연장
3. 일정압제어 대비 20% 이상 전력 절감
|
가변압 제어
가변압 기준선 자동 설정 기술 |
가변압 기준선
자동 설정 기술
|
1. 기초 정보 입력 |
- 건물 동수, 층수, 세대수, 면적, 최대유량 입력
- 입력된 값을 이용하여 Darcy Weisbach/Harzen Williams 공식 이용
|
2. 직접 입력 |
- 최고압력(설계압력)과 배관마찰손실양정을 뺀 시작압력을 직접 입력
|
3. 가변압 기준선 설정 |
- 전체 유량에 대한 가변압 기준선을 공식화하고 설정 |
유량 연산 기술 |
유량 연산 기술 |
1. 성능시험 |
- 부스터펌프시스템을 유량에 대해 측정 가능한 범위 내에서 모든
성능을 측정
|
2. 유량에 대한 공식화 |
- 모든 데이터를 수학적 공식으로 정의한 뒤 기기에 탑재 |
3. 유량 연산 |
- 실시간으로 운전데이터를 확보하여 공식에 대입, 유량을 역산 |
가변압 제어에 의한 이득
-
[압력 이득] 불필요한 압력을 배제함으로써 얻는 이득으로,
사용중인 유량이 적을수록 커진다.
-
[유량 이득] 펌프의 최대 연동 전 까지 공급할 수 있는 유량의 범위가
증가함으로써 발생되는 이득으로, 일정압 제어에서는 2대로 가동해야만
하는 구간에서 1대가 구동하는 구간이 발생한다.
- [전력 저감] 압력 이득과 유량 이득에 의해 전력이 저감된다.
전력 저감 효과
전체
동력
|
펌프
구성
|
유량
[$m^3/min$]
|
전력[kW] |
저감율 [%] |
저감율평균 [%] |
가변압제어 |
일정압제어 |
6 kW |
대소
용량
|
0.04 ~
0.2
|
0.95
~
4.86
|
1.66
~
5.43
|
20.9 |
21.0 |
동일
용량
|
1.06
~ 4.58
|
1.86
~ 5.46
|
27.5 |
33 kW |
대소
용량
|
0.15 ~
0.1
|
3.10
~ 24.52
|
3.76
~ 28.52
|
22.1 |
동일
용량
|
3.21
~ 26.70
|
4.95
~ 31.32
|
23.3 |
88 kW |
대소 용량 |
0.4 3.04 |
8.87
~ 72.80
|
10.99
~ 76.45
|
15.3 |
동일
용량
|
12.21
~
77.45
|
14.90 ~ 77.42 |
16.9 |
현장 시험 |
세대수 |
540 세대 |
층 수 |
20층(지하 1층) |
동력 |
37 kW |
사용 층 수 |
지하 1층 ~ 지상 7층 |
시험
결과
(30일)
|
구분 |
가변압 제어 |
일정압 제어 |
저감율 [%] |
총 유량 |
1,806 |
1,813 |
- |
적산전력량 |
1,039 |
1,316 |
21.1 |